의안대군(義安大君), 의안대군(宜安大君), 의안군(義安君)???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는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의 시조(始祖)이시다
그런데 비슷한 이름의 의안대군(宜安大君)과 의안군(義安君)이 있어 혼돈을 이르키매 여기 한자리에 소개하여 둔다
의안대군(義安大君)은 따로 소개한 페이지가 있으니 간단히 소개하고
의안대군(宜安大君)과 의안군(義安君)은 좀 더 상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의안대군(義安大君) 양소공(襄昭公) 이화(李和)
전주이씨 (全州李氏)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의 시조(始祖)이시다
이화(李和, 1348년 ~ 1408년 10월 6일)는 고려 말의 선비이며
조선 초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무신(武臣), 문신(文臣)이다.
호(號)는 이요정(二樂亭), 시호(諡號)는 양소(襄昭)이다.
환조대왕(桓祖大王) 이자춘(李子春)의 아들이자 조선(朝鮮)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이복 동생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1398년 (태조 7) 제1차왕자의 난에 방원을 도운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에 서훈되고,
1400년 (정종 2) 제2차왕자의 난에 다시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에 서훈되었다.
그는 전후 4차에 걸쳐 공신에 피봉되고, 도합 570결(結)의 공신전을 받아 조선 초기 공신 중에서 가장 많은 토지를 소유하였다.
이어 1407년(태종 7) 7월 영의정이 되고 대군(大君)에 봉해졌다
죽은 뒤 태조의 사당에 함께 모셔졌다 이화묘(李和墓)와 사당은 남양주시 평내동 궁평마을에 있으며,
1986년 4월 10일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다.
의안대군 (宜安大君) 방석(芳碩)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방석(芳碩). 시호는 소도(昭悼)이다.
태조의 제8왕자로, 어머니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이며, 이복형이 태종이다.
1392년 (태조 1) 정도전 등의 추대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1398년 (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유배되는 도중 이방번과 함께 이복형 이방원 일당에게 살해되었는데. 향년 17세였다
묘역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엄미리에 있는 조선 태조의 제8 왕자 의안대군 묘역이다. 경기도 기념물 제166호.
1382년 태조 이성계와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두번째 부인) 사이에서 막내아들로 출생하였고 태조 이성계의 8번째아들이다.
1392년 (태조 1) 방석의 나이 11세가 되면서 조선왕조 최초의 세자로 책봉되었다.
어린시절부터 총명함으로 태조 이성계의 사랑을 받았고
배극렴(裵克廉), 정도전(鄭道傳), 조준(趙浚) 등 공신의 추대로 세자에 오르게 되었다.
첫번째 부인으로 현빈(賢嬪) 유씨(柳氏)를 맞았으나 내시였던 이만(李萬)과 불륜으로 폐서인되어 쫓겨났고,
1397년 (태조6) 심효생의 딸을 두번째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당시 태조에게는 첫째부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사이에서 여러 명의 아들을 두고 있었고
적장자인 영안대군(정종)이 왕권을 승계하는 것이 일반적인 종사였으나
왕권을 경계하고 신권을 강화하여 조선의 정치를 펼치고자 했던 신하들에 의해 어린 방석을 세자로 추대하게 되었다.
이에 조선왕조 건국을 주도했던 정도전, 심효생, 남은, 등의 대신들이 중심이 되어 신권이 권력의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는 정치적인 파장을 몰고오는 결과를 낳았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소생이자 방석의 이복형들인 이방원, 이방간 등이 불만을 품게되었고, 마침내
1398년 (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방석을 지지했던 정도전 등 신하들은 모두 살해되고
태조 이성계는 방석을 살려주는 조건으로 방원의 쿠데타를 인정하게 되었다.
하지만 방석이 유배를 떠나기 위해 대궐 문을 나서자마자
동모형(同母兄)인 방번(芳審)과 함께 이방원 일당에게 살해되고 말았고
방석을 세자로 추대했던 일은 정도전이 어린 세자를 내세워 역모를 꾸민일로 평가되었다.
사후 시신은 경기도 광주에 안장되고 오원공(五原公)에 추봉되었다.
태종 6년(1406) 9월 14일(음력 8월 3일), 태종은 방석에게 소도군(昭悼君·또는 소도공),
방번에게 공순군(恭順君·또는 공순공)의 시호를 추시했다.
숙종 6년(1680) 8월 21일(음력 7월 27일), 숙종은 신원정치의 일환으로 방석을 의안대군(宜安大君)으로,
방번을 무안대군(撫安大君)으로 추증하였다
가족 관계
조부 : 환조대왕
대왕대비 : 의혜왕후
부왕 : 태조대왕, 대한(大韓) 태조 고황제(太祖 高皇帝), 조선 건국조
모후 : 신덕왕후, 대한(大韓) 신덕 고황후(神德 高皇后) 강씨(康氏)
형(兄) : 무안대군(撫安大君) 방번
자(姉) : 경순공주(敬順公主)
자형(姉兄) : 흥안군(興安君) 제(李濟), 개국공신
정부인 : 현빈 유씨(賢嬪 柳氏) - 폐출
계부인 : 삼한국대부인 현빈 심씨(三韓國大夫人 賢嬪 沈氏 , ? - 1448년) - 부성군(富城君) 심효생의 딸. 본관은 부유.
장남 : 원손, 이름미상(元孫, 1398년 5월 29일/6월 14일 - 1398년 8월 26일/10월 6일) - 출생 기록만 남겨져 있다.
의안군(義安君) 이회(李懷)
이칭별칭 시호 이회(李懷)
의안군 [義安君] 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제14대 임금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이름은 성(珹)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던 저경궁(儲慶宮) 인빈김씨(仁嬪金氏)소생으로
1577년에 태어났다.
1587년 (선조 20) 종실인 복성군(福城君)의 양자로 들어갔다.
어려서 사리를 분별하는 총명이 남달랐으므로 부왕의 편애를 입었다.
선조는 의안군을 사랑하는 나머지 크게 궁실을 짓고 호화롭고 사치스럽게 꾸며서 하사하였다.
그러나 1588년, 12세가 되던 해에 세상을 떠서 슬픔을 안겨 주었다고 한다.
장가를 들기 전에 죽었으므로 선조가 후사를 세워주려고 하였으나 전례가 없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693년 (숙종 19)의회(懿懷)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묘역은 화도읍 녹촌리 사당 주위에 있다.
재실의 좌측 산등성이에 있는 능원대군 묘역을 중심으로 맨 위에 의안군이 있고, 그 아래로 후손들의 묘역이 있다.
의안군 묘역은 화도읍 녹촌리 능원대군 사당 바로 500m 뒤에 있다. 묘역은 1997년에 진접읍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 조선왕조실록, 승정원 일기 등 주요 자료를 검색하시다 보면, 동명이인이 꽤 나옵니다.
인터넷 자료들 중에서도 오류들이 보이고,
(특히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씨와 본관 코너에서는
의안'대'군을 인정하지 않고 '의안군'이라고 고수하다가 근래에는 아예 검색이 잘 안되기도 합니다.
관련 근거를 정리하여 정정 요청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벌써 수년이 지났는데, ...
회원님들의 자원봉사 활동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동명이인 혹은 한자가 비슷한 인물들과 잘 구분하시어,
자녀들에게 잘 가르쳐 주시길 바랍니다.
======
<동명이인>
1. 환조대왕(자춘,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 형제
- 형 완창대군 자흥(宗昌大君 子興)
- 동생 완원대군 자선(宗原大君 子宣)
- 동생 완천대군 평(完川大君 平)
- 문혜공주(文惠公主), 대장군 문인영(大將軍 文仁永)에게 출가
- 문숙공주(文淑公主), 다루가치 김마분(達魯花赤 金馬粉)에게 출가
- 문의공주(文懿公主), 허중(許重)에게 출가
2. 武厚公 李和英 (이화영)
매화
세종실록에 등장하는 ... 의안대군 이화영의 ...이다. 이화영의 아들에게 벼슬을 주는 문제가 논의가 되었는데
문제는 이화영이 매화에게 미혹되어 아들을 미워한 것인지 정말 아들이 아비에게 불효한 것인지를 판단해 보자는 것이었다.
1) 세종실록에 검색하여 '의안대군' 이화영이라고 나오는지 확인을 해보아야 합니다.
2) 한자가 이화+영 으로 "이화"자가 같으니, 원문 검색할 때 구분할 줄 알아야 하겠습니다.
(남양주)무후공 이화영(武厚公 李和英) 묘-청해이씨-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용정리 하독정 산16
- 무후공 이화영(李和英)의 아버지는 여진에서 귀화해 조선개국공신이 된 이지란[李之蘭, 충혜왕 1년~]이다.
- 이씨 성과 청해 본관을 하사받았다.
- 이화영[李和英, ?∼세종 6년(1424)], 고려 말, 조선 초 무신. 시호는 무후(武厚)이다.
3 완천군 동명이인
서울六百年史 - 이순신(李純信)
광해군 3).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부(立夫)이다.
양녕대군의 후손으로 이진(李眞)의 아들이며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선조.... 1606년 다시 수원 부사를 거쳐 경기 방어사를 지내고 이듬해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졌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임해옥(臨海獄...
李 仁
세종의 9남 영해군(寧海君)의 아들이며, 1474년 영춘군(永春君)에 봉해졌다.
그의 묘소는 도봉1동 산82-1번지 도봉산 기슭 무수골에 있는데
여기에는 그 뿐만 아니라 그의 부(父)인 영해군의 묘와 그의 동생인 길안군 및 아들인 완천군과 강녕군의 묘가 같이 모여 있으며,
현재 이 마을에는 영해군의 후손들이 이 고장을 지키고 있다.
의안대군 (宜安大君) 방석(芳碩)의 묘(墓)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엄미리
의안군(義安君) 이회(李懷)의 묘(墓)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녹촌리
'뿌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를 찾아서 - 대한민국 역사 연대표 : 단군~가야.신라.백제.고구려.고려.발해 (0) | 2016.01.05 |
---|---|
뿌리를 찾아서 - 친인척 호칭법과 세(世).대(代).촌수(寸數) / 10간(干).12지(支).띠,시간.절기 (0) | 2016.01.05 |
뿌리를 찾아서 - 조선왕조(朝鮮王朝) 가계도(家系圖) (조선왕조500년) (0) | 2016.01.05 |
뿌리를 찾아서 - 조선왕조(朝鮮王朝) 왕실세계보(王室世系表)/ 27대/ 517년/ 1392~1910 (0) | 2016.01.05 |
뿌리를 찾아서 -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조(始祖) "한(翰)"의 묘역(墓域) / 조경단(肇慶壇) (0) | 2016.01.05 |